2010년 10월 29일 금요일

2%부족한 모바일 주소록의 소셜화


본 글은 현재 여러 경로를 통해 제공되고 있는 몇 가지 소셜 주소록의 특징을 살펴 봄으로써 모바일 단말에서 주소록이 어떻게 진화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피플링

피플링은 지난 8월 SKT에서 출시한 안드로이드 기반의 소셜 주소록으로, T스토어에서 현재 51,370 다운로드를 기록하고 있다. 기존 모바일 주소록의 Contact list에 Twitter의 Following list와 와 Facebook의 Friends list를 불러와 추가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이렇게 불러들인 해당 contact의 SNS에서의 time line 또는 Wall page의 내용을   주소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웹기반의 SNS에서 널리하고 있는 것 처럼 SNS로부터 획득하였으나 현재 사용자의 주소록에는 추가되지 못한 contact를 추천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피플링에서 특이할 점은 대화이력을 보여주는 UI를 화면상단에 시간순으로 배열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대해 느끼는 바는 사용자마다 좀  다를 수 있겠으나, 본인처럼 메세지나 통화가 뜸한 사용자에게는 한참을 왼쪽으로 스크롤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감수해야 한다. 반면에, 메세지나 통화를 자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는 자신의 대화이력을 시간에 따라 그래픽하게 확인해 볼 수 있는 장점이 될 수도 있을 것 같다.


유세이는 주소록 통합 관리를 위해 KTH에서 내놓은 아이폰용 주소록으로 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유세이 단말앱은 Gmail, Naver, Paran, Daum과 같은 이메일 및 포털에 있는 사용자의 주소록 정보를 끌어와 통합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유세이는 단말앱외에 웹기반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는데, 사용자는 단말앱의 contact list를 네트웍의 웹서버에 백업하고  동기화 할 수 있다. 어쩌면 현재로선 소셜 주소록이라기 보다 단순한 통합주소록이라고 보는 게 맞을 수 있겠으나, 향후 SNS와 연동함으로써 소셜 주소록으로 진화하리라는 개연성은 충분히 있어보인다.


이밖에 유세이에서는 주소록 기능외에 사용자간의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하고 있다. 유세이를 통한 메세지의 전송은 무료로 제공되는데, 단순 텍스트만이 아닌 파일이나 그림과 같은 멀티미디어 전송을 지원한다.



삼성은 지난 6월 소셜허브라는 이름의 소셜주소록을 탑재한 안드로이드기반의 갤럭시S와 바다기반의 웨이브폰을 해외에서 출시했다. 그리고, 지난 10월 11일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소셜허브를 장착한 안드로이드 2.2(프로요)기반의 갤럭시K를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Bloter.net의 주민영님이 소개한 바와 같이, 소셜허브는 외부의 다양한 SNS를 단말에 통합함으로써 단말 주소록을 소셜화하고 있다. 또한, 소셜허브의 프리미엄 서비스를 위한 푸쉬 서버를 소셜허브를 장착한 삼성단말을 제공하는 모든 이통사의 네트웍에 설치함으로써 부가수익을 창출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소셜허브는 Facebook, Twitter와 같은 여러 SNS 및 이메일을 제공하는 포털과의 연동을 통해 획득한 contact list를 단말의 주소록에 통합한다. 이렇게 통합된 각 contact의 정보와 SNS 활동은 주소록을 통해 직접 확인할 수 있으며, 주소록에서 해당 contact의 SNS 또는 이메일 계정으로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소셜허브는 부가적으로로 통합캘린더 기능을 제공하는 데, 외부의 SNS 및 이메일 포탈로 부터 수집된 일정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갤럭시S 소셜허브 관련 유튜브 동영상 참조)


미국 회사인 Asurion Mobile은 작년에 이미 모바일 주소록에 SNS연동을 접목한 소셜 주소록을 출시해 놓고 있다. 해당 앱을 앱스토어에서는 찾을 수 없는 것으로 봐서 현재로서는 안드로이드 마켓에서만 다운받을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Asurion Mobile에서 출시한 Asurion Address Book은 Facebook과 Twitter 이외에도 매우 많은 다양한 SNS 연동을 지원한다. 사용자는 지인관계 정보를 해당 SNS로부터 가져와 모바일 주소록으로 통합시킬 수 있으며, 통합된 contact의 SNS활동을 소셜 주소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소셜주소록에서 해당 SNS로 메세지를 전송하거나 게시물을 올리는 것도 가능하다. (Asurion Address book 유튜브 동영상 참조)


마이피플은 다음 커뮤니케이션즈에서 출시한 주소록 기반 메신저로 안드로이드용 및 아이폰용으로 모두 제공된다.

사용자는 단말에 있던 원래 주소록의 contact list와 다음의 주소록을 통합하여 관리하고, 마이피플 앱의 주소록을 다음의 주소록에 백업하거나 동기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이 세상에 첫 발을 디딘 후로 늘 함께 해 왔던 모바일 주소록은 소셜이라는 바람을 타고 다음 단계로의 진화를 준비하고 있다. 이러한 진화를 위해 주소록에 추가되는 기능들을 크게 Communication, SNS연동, 동기화로 구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각 기능별로 위에 소개된 각 서비스를 구분해 보면 다음과 같다.

통신기능
SNS연동
동기화
비고
Peopling
(SKT)
지원
(Messaging & Call)
지원
미지원
SNS연동을 통한 단말주소록의 확장
Usay
(KT)
지원
(Messaging & Call)
미지원
지원
단말 주소록 백업 동기화
Social Hub
(Samsung)
지원
(Messaging & Call)
지원
미지원
SNS연동을 통한 단말주소록의 확장
Asurion
(Asurion Moble)
지원
(Messaging & Call)
지원
미지원
SNS연동을 통한 단말주소록의 확장
MyPeople
(Daum)
지원
(Messaging & Call & IM)
미지원
지원
사이트 주소록에 기반한 메세징

결론적으로 얘기하면, 이통사, 단말제조사, 포털로 구분되는 모바일 시장의 Player들은 자기 나름대로 모바일 주소록의 진화를 꾀하고 있다. Facebook이나 Twitter를 비롯한 많은 웹 기반 서비스들이 웹 도메인에서 소셜 서비스의 중훙기를 만들어가고 있듯이,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던 이통사나 단말 제조사는 기존의 모바일 주소록에 소셜특성을 부가함으로써 또 다른 도메인에서의 소셜 플랫폼을 만들어 가고 있다. 결과적으로 두 개의 큰 흐름이 어딘가에서 만나 수렴하겠지만, 적어도 모바일 단말 쪽에서는 아직 지배적인 승자는 보이는 것 같지는 않다. 소셜 주소록은 그 자체로서 어떤 수익을 기대할 수 있기보다는 그 기반위에 올라설 수 있는 3rd-party 서비스들이 무궁무진 하기 때문에, 소셜 주소록의 강자가 되는 것은 어쩌면 그 이상의 의미가 있을지도 모르겠다. 그것은 모바일 주소록에 수록되는 정보가 웹에 수록되는 개인정보보다 훨씬 신뢰도가 높고 다양할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러나, 현재까지 출시된 소셜 주소록을 볼 때 나타나는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1. 차별화 부족
트윗덱으로 대표되는 SNS Gateway 성격을 가지는 기존의 앱들과 비교했을 때 지금의 소셜주소록이 차별화가 크지 않다는 점이다. 소셜 주소록이 결국은 모바일 주소록 + SNS Gateway이기만 하다면, 기존에 트윗덱 같은 편리한 앱을 사용하던 사용자가 소셜 주소록으로 이전하기 위한 교체비용을 기꺼이 감수할 것 같지가 않다. 단순한 기능적 통합만으로는 앱에 대한 사용자의 복잡한 인식을 모두 담아내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2. 사용자 경험에 대한 이해
이미 여러 블로거들이 언급한 바 있지만, 모바일 주소록에 저장되어 있는 contact list와 SNS에서 following하거나 Friends관계에 있는 contact 들과는 그 의미가 다르다. 전자는 적어도 한 번 이상 사용자와 직접적으로 접촉이 있었던 지인들로서 Tightly Coupled 의 관계라고 볼 수 있는 반면 후자는 언제든 그 관계가 끊어져도 별로 이상하거나 아쉽지 않은 Loosely Coupled 관계라는 것이다. 이 두 상반된 관계의 contact를 어떻게 소셜 주소록이라는 한 공간에 잘 MIxing하는 가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관건이라 하겠다.

3. UX/UI의 중요성
소셜주소록은 기존의 다소 단순했던 모바일 주소록을 소셜화함으로써 더욱 복잡한 기능을 제공해야 한다. 사용자는 어떤 형태의 주소록을 이용하든 기존의 주소록이 가지는 단순 명확함과 편리함등을 결코 포기하고 싶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기존 주소록 만큼이나 단순하고 편리하고 빠르게 contact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소셜 주소록의 복잡한 기능을 어떻게 디자인하는 가가 또 하나의 매우 큰 과제일 것이다.

4. 앱의 정체성
마지막으로, 앱의 정체성을 들 수 있다. 주소록인가? 메신저인가? 아니면 SNS Gateway인가? 사용자들에게 메신저나 SNS Gateway로 오인되면, 그 순간 해당 소셜 주소록은 기존에 이미 많이 나와있는 우수한 메신저와 SNS gateway App들과 같은 One of them이 되는 것이다. 메신저나 SNS Gateway 보다 소셜주소록으로서의 정체성을 가지는 것이 더 성공확률이 높은 것은 아직 시장을 지배하는 서비스가 없는 초기시장이라는 점 때문이다. 이러한 이점을 극대화 하기 위해서 사용자에게 어떠한 정체성을 가지고 다가가는가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고민거리일 것이다.

이상으로 모바일 단말에서의 소셜 주소록에 대한 내용을 나름대로 살펴봤다. 조만간 위에 언급된 한계점을 잘 극복하고 모바일 기기에도 잘 어울리는 소셜 플랫폼이 나올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2010년 9월 7일 화요일

통합메세징(CPM: Converged IP Messaging) 표준화

지난 2006년 6월에 OMA(Open Mobile Alliance)의 Work Group가운데 Communication관련 Enabler들을 다루고 있는 COM 그룹의 표준화 Work Item으로 채택되어 시작되었던 CPM Enabler가 2010년 8월말로 공식 종료되었다. 표준화에 참여한 주요 회사로는 Nokia, NSN, Ericsson, Samsung, LGE, Alcatel-Lucent, Acision, Hansol, Orange등이 있다.


본 고에서는 표준화 작업이 완료된 CPM의 주요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고 CPM이 가지는 기술적 요소들에 대해 정리해 보고자 한다.


1. 개념
CPM은 기존의 SMS, MMS, Email, IM과 같이 각각의 silo에서 생성되고 진화되어 오던 메세징 서비스들이 All-IP망에서 어떻게 진화하게 될 것인가에 대한 고민에서 출발한다. All-IP망에서의 메세징 서비스는 사실상 SMS, MMS, Email, IM같은 기존의 메세징 서비스가 더이상 존재하지 않는 하나의 단일화된 메세징 서비스로 통합될 것이다.




이에 따라 이전 메세징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경험이, SMS/MMS/Email등 전송될 메세징 서비스의 종류를 선택함으로써 이루어지는 형태였다면  CPM 에서는 특정 contact에 대한 communication을 시도하는 것으로 단순화 될 것이다. All-IP기반의 CPM은 기존의 메세징 서비스들이 가지고 있던 모든 특징을 흡수하고 기존 메세징 서비스 단말에 대한 역호환성을 보장하는 형태로 표준화가 이루어졌다.

CPM은 그 자체로서 메세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인 동시에 메세징을 필요로 하는 3rd party Application에게 메세징 기능을 제공해주는 플랫폼의 개념을 가진다. 





예를 들어, Game Service에서 CPM이 제공하는 Interface를 이용해 Game Service를 이용중인 사용자 간의 Communication기능을 제공한다거나 음악이나 영화 스트리밍을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 들이 해당 음악 또는 영화에 대한 의견을 나눌 수 있도록 communication path를 열어주는 등의 서비스가 가능한 것이다.


2. 기능


2-1. 멀티미디어 지원
CPM은 모든 형태의 멀티미디어를 지원한다. 즉, 기존의 SMS, MMS, Email, SIMPLE IM에서 제공하던 discrete media(예:text, image, video clip, audio clip, binary등)와 continuous media(예:video streaming, audio streaming등)의 전송을 지원한다. 

2-2. Non-CPM Interworking
CPM은 기존 서비스 들에 대한 역호환성을 제공한다. 즉, 기존의 SMS, MMS, Email 메세지를 IP기반의 CPM 사용자가 받아보거나 전송할 수 있게 함으로써, CPM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은 일반 메세징 서비스 사용자와도 communication이 가능하도록 한다.

2-3. Multiple Devices(다중 단말) 지원
CPM은 한 개 이상의 서로 다른 capability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의 단말을 지원한다. 각 단말은 하나의 CPM 사용자 주소에 맵핑되고 사용자는 device capability나 communication capability에 따라 어떤 단말로 어떤 형태의 메세지를 전송받을 지 미리 설정 할 수 있다.

2-4. Multiple User Preferences Profile
CPM 사용자는 한 개 이상의 user preference set을 정의(예: office, meeting, do-not-disturb, home 등)함으로써 상황에 맞는 개인화된 communication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 

2-5. Network-based Storage
CPM은 사용자에게 네트웍 기반의 스토리지를 제공한다. 네트웍 기반 스토리지는 사용자에게 수신된 메세지 및 미디어를 백업 또는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CPM 사용자는 네트웍 기반 스토리지에 저장된 미디어를 다른  CPM사용자와 공유하거나 Foward 할 수 있다. 

2-6. Standalone Messaging
Standalone Message는 discrete media를 포함하는 메세지를 의미한다. Standalone Messaging에서는 discrete media를 포함한 메세지의 크기가 1300byte보다 작은 경우는 Pager Mode로, 이보다 큰 경우는 Large Message Mode로 메세지가 전송된다. Standalone Messaging에서는 사용자의 User preference에 따라 Disposition Notification(예: 전송확인, 읽기확인)을 교환할 수 있다.

2-7. Session Mode Messaging
Session Mode Messaging은 종단간 미디어 계층에서의 세션이 맺어진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communication을 의미한다. 세션이 맺어진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communication은 별도의 Disposition Notification이 존재하지 않는다. Session Mode Messaging은 크게 1-1과 Group Session으로 구분된다. Group 세션에서는 한 명이상의 사용자간에 교환되는 미디어의 분배가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초대 및 퇴장 관련 호처리 기능이 포함된다. 또한, Group 세션에 참여하고 있는 참여자는 Group 관련 참여자 정보를 받아볼 수 있다.

2-8. File Transfer
파일전송 기능은 기존 SIMPLE IM에서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발신자가 원하는 파일을 선택하여 착신측으로 전송을 하면 착신측의 수락여부에 따라 파일의 전송여부가 결정된다. 파일전송이 완료되면 파일전송을 위한 세션은 자동 종료된다.

2-9. Recording
CPM 사용자는 수신되는 모든 메세지 및 미디어를 네트웍 기반의 스토리지에 저장할 수 있다. Message Delivery의 일부 기능으로서의 'Storing'의 경우 수신되는 메세지 및 미디어를 단말에 착신하는 대신에 네트웍 기반 스토리지에 저장하도록 하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이루어지고 따라서, 이 경우 메세지가 착신되었다고 간주되지만, 반면에 Recording의 경우 실제로 단말에 착신이 이루어진 메세지 및 미디어를 네트웍 기반 저장소에 저장한다.

3. 아키텍쳐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CPM Enabler는 CPM Partcipating Function, CPM Controlling Function, Interworking Selection Function, Inteworking Funciton, Message Storage Server 그리고 CPM Client 및 Message Storage Client로 구성된다. 이들 각 Component에 대한 간략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 Message Storage Client: CPM Message Storage와 연동하여 단말과 Storage간의 메세지 동기화, 메세지 조회 및 관리를 수행한다.
  • CPM Client: CPM Participating Function과 연동하며 사용자의 다양한 설정에 따라 메세지를 송수신한다. 
  • CPM Participating Function: CPM Client와 직접 연동하여 메세지를 송수신한다. Multiple  CPM Client를 관리하고, User Preference를 참조하여 착신자에게 메세지를 전송한다. 그룹세션인 경우 CPM Controlling Function과 연동한다.
  • CPM Controlling Function: CPM Group 세션을 담당한다. Signal 및 Media를 그룹세션 참여자에게 분배하는 conference focus의 역할을 수행한다.
  • Message Storage Server: 네트웍 기반의 메세지 저장소로서 발수신 메세지 관리 및 CPM 단말과의 동기화 기능을 제공한다.
  • Interworking Selection Function: Legacy Messaging Service로 라우팅 되는 메세지에 대해 특정 Legacy Messaging Service(i.e., SMS, MMS, Email)를 user preference 및 operator policy에 따라 결정하고 해당 Inteworking Function으로 메세지를 라우팅한다.
  • Interworking Function: CPM메세지를 각 Legacy Messaging 서비스로 라우팅한다. 이를 위해 프로토콜 변환 기능등을 수행한다.


CPM Enabler를 구성하는 각 component간의 signaling은 SIP에 기반하며, discrete media 및 continuous media 전송을 위해 MSRP와 RTP/RTCP를 지원한다. 또한, 외부의 XDMS Enabler로부터 User preference 및 Operator policy를 끌어오기 위해 XCAP을 사용하며 Message Storage Client 및 Server간에는 IMAPv4를 사용한다.

4. 사용자 설정(User Preference)
CPM Participating Function은 user preference에 기반한 communication을 수행해야 한다. CPM 서비스를 위해 사용된 User preference는 SIMPLE IM의 그것에 비해 다소 복잡해진 면은 있으나, 반면에 다양한 형태의 메세징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표준화가 진행되었다. CPM System Description Document에 정의된 user preference는 다음과 같다.
  • General request handling
    • Do not disturb : 착신자가 Do-not-disturb로 설정해 놓은 경우 해당 사용자에게는 어떠한 Message나 Notification이 전송될 수 없다.
  • Message  Handling
    • Reject Message based on black list: 착신자가 설정한 blacklist에 해당하는 사용자로부터 메세지 전송시 해당 메세지는 전송되지 않는다.
    • Handling of Messages
      • Defer: 착신 단말이 메세지를 착신할 수 없는 상태인 경우 해당 메세지는 시스템의 temporary queue에 저장된다. 이후 CPM Client가 다시 메세지를 받을 수 있는 상황이 되면 저장되었던 메세지가 전송된다.
      • Deliver to Message Storage: Defer와 동일하나 메세지를 네트웍 기반 스토리지에 저장한다.
      • Forward: 수신된 메세지를 착신 단말로 착신하는 대신 착신자가 설정해 놓은 제 3의 단말로 해당 메세지를 Forwarding한다.
      • Delivery using Non-CPM Communication Service: 착신자가 메세지를 CPM이 아닌 SMS,MMS 또는 Email로 착신하기를 원한다면 해당 메세지를 CPM Client가 아닌 해당 사용자의 SMS Client, MMS Client 또는 Email Client로 전송해야 한다.
      • Deliver by providing a link to stored media instead of the media itself: 메세지에 미디어가 첨부되어 있는 경우, 해당 메세지를 모두 보내는 대신 미디어를 네트웍 기반 스토리지에 저장하고 저장된 각 미디어에 대한 link를 전송한다. 향후 착신자가 해당 미디어를 복원하고자 하는 경우, Message Storage Client를 통해 다운로드 될 수 있다.
  • Handling of expired Deferred CPM Messages
    • Discard: deferred message가 아직 단말로 착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 유효 시간이 만료된 경우 해당 메세지를 폐기처분한다.
    • Delivery to Message Storage Server: deferred message가 아직 단말로 착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 유효시간이 만료된 경우 해당 메세지를  Message Storage Server에 저장한다.
  • Session Handling
    • Automatically accept/reject specific types of media during a session : 특정 조건(예: 발신자, 미디어타입 등)을 만족하는 세션에 대한 요청이 수신된 경우 착신자의 동의를 구하지 않고 자동으로 수락/거부 한다.
    • handling of session invitation when CPM user not available, reject/interworking: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세션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고 착신단말이 메세지를 착신할 수 없는 상태인 경우 해당 메세지에 대해 거부/non-CPM inteworking 을 수행한다.
  • Recording handling
    • Automatically record/not record: 착신 메세지, 세션, 대화내용을 녹음한다.
  • Multi-Device handling
    • Delivery message or notification to all or subset of user's devices: 착신 메세지나 notification을 CPM 사용자의  등록된 모든 단말기나 일부 단말기로 전송한다.
    • Deliver session invitation to all or a subset of user's devices: Session 요청 메세지를 CPM 사용자의 모든 등록된 단말기나 일부 단말기로 전송한다.
    • Deliver based on active user Preference Profile, message size, content type: 활성화되어 있는 UPP나 메세지의 크기, 컨텐츠 종류에 따라 해당 메세지를 특정단말로 전송할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 Non-CPM Interworking
    • 연동할 특정 Non-CPM 서비스(i.e., SMS, MMS, Email)를 선택하기 위해 ISF는 XDMS로터 획득한 User Preference를 참조하여, 미디어 타입, 메세지크기에 따라 이를 결정한다.

5. 맺음말
CPM Enabler는 지난 2006년 6월에 표준화 작업이 시작되어 지난 8월 종료를 했으니, v1.0 표준화 완료까지 장장 4년이란 시간이 걸린 셈이다. 그렇게 표준화를 하는 과정에서, 당시 Work Item이 나왔을 때까지만 해도 초기시장이었던 통합메세징 시장이 어느덧 지금에는 모든 메세징 관련 서비스들의 당연한 Feature로 자리잡고 있을 만큼 보편화 된 듯 하다. 그런 점에서 CPM 표준의 완성 시점이 time to market을 맞추지 못했다는 지적에 대해 자유롭지는 못할 듯 싶다. 하지만, 글로벌 이통사들이 4G 네트웍을 점차 구축해 나가고 많은 솔루션 벤더들이 4G관련 솔루션들을 쏟아내고 있는 지금 All-IP에 기반을 두고 있는 CPM 표준이 가지는 의미는 주목할 만하다. 특히, CPM 표준에서 정의하고 있는 Non-CPM Interworking, Multiple Device지원, Multiple User Preference Profile, Multiple Streaming과 같은 기능은 앞으로 메시징 시장이 All-IP기반으로 진화하면서 과도기적으로 또는 항상적으로 수용해 가야 하는 특징이라고 보여진다. 





2010년 8월 17일 화요일

LTE에서의 IMS Telephony 부가서비스




GSMA IR.92에서 IMS UE IMS TAS가 지원해야 할 부가서비스를 명시하고 있다. 다음은 해당 문서에서 명시하고 있는 부가서비스의 종류와 그 각각에 대해 기술한다.


부가서비스
내용
규격
1
XCAP
부가 서비스를 위한 단말 설정 파라미터 설정
TS24.263
2
Ad-hoc Multi Party Conference
그룹 통화 및 3자 통화
TS24.605
TS24.147
RFC4575
3
Communication Waiting
통화 중 대기
TS24.615
4
Message Waiting Indication(MWI)
부재중 메시지 수신 알림
RFC24.606
RFC3842
5
Originating Identification Restriction(OIR)
발신자 번호 제한
TS24.607
6
Terminating Identification Restriction(TIR)
착신자 번호 제한
TS24.608
7
Communication Diversion(CDIV)
호 전환
TS24.604
8
Communication Barring(CB)
호 금지
TS24.611

1.     XCAP 지원
UE는 부가서비스와의 연동구간(Ut)에서 부가서비스 관련 단말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도록 XCAP을 지원해야 한다.

2.     Ad-hoc Multi Party Conference
UE는 다자간 통화를 위한 기능을 제공해야 한다. 다자간 통화를 위한 세부기능은 다음과 같다.

       그룹 통화 생성/삭제/관리
       그룹 초대/탈퇴
       그룹 정보 및 이벤트 조회
       발언권 관리
       그룹 정책 관리
       미디어 처리

3.     Communication Waitng
착신자가 통화중인 상태에서 호가 도착한 경우 UE는 이를 착신자에게 알리고, 착신자의 응답을 기다릴 수 있다. 만일 TAS에서 사용자의 상태를 알 수 있는 충분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면,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발신자에게 호대기 상태임을 알릴 수 있다.

4.     Messaging Waitng Indication(MWI)
이는 Deferred Message 처리를 위한 서비스로서, UE가 메시지를 착신할 수 없는 상태에 있어 착신되지 못하고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들을 UE가 메시지를 착신할 수 있는 상태로 천이했을 때 전송해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Subscription/Notification 메커니즘을 이용해 UE는 저장되어 있는 각 메시지들에 대한 정보를 받아 올 수 있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메시지들을 단말로 착신한다.




5.     Originating Identificaiton Restriction(OIR)
발신자가 익명을 요청할 경우 인증과정을 거쳐 이를 처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발신자가 익명을 요청하더라도  발신자의 실제 주소값은 P-Asserted-Identity 헤더에 설정되어야 하며, 이 값은 trusted network안에서는 항상 존재한다. 착신단말은 발신자가 익명을 요청한 경우, 발신자의 실제 주소값인 P-Asserted-Identity를 착신자에게 노출하지 않아야 한다.


6.     Terminating Identification Restriction(TIR)
착신자가 익명을 요청할 경우 인증과정을 거쳐 이를 처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착신자가 익명을 요청하기 위해서는 SIP INVITE에 대한 응답 전송 시 P-Preferred-Identity에 사용자가 원하는 Nickname을 설정할 수 있다. P-CSCF To헤더의 값을 P-Preferred-Identity의 값으로 설정하고 P-Assereted-Identity To헤더에 있던 실제 주소값으로 설정한다.


7.     Communication Diversion(CDIV)
착신호를 제 3 UE forwarding하는 서비스의 집합을 의미한다. Communication Service는 사용자가 설정한 조건을 기반으로 제 3 UE 또는 사용자에게 해당 호를 Forwarding할 수 있다. 다 음은 호를 Forwarding할 수 있는 조건과 그 동작을 기술한다.


Type
Conditions
Descriptions
Comment
CFU
Unconditional
착신 주소 기준 무조건 착신전환
GSMA requested
CFB
Busy
통화중
GSMA requested
CFNR
No Answer
무응답
GSMA requested
CFNL
Not registered
네트웍 미접속
GSMA requested
CD
N/A
3자에게 호 전환

CFNRc
Not reachable
메시지 전송불가
GSMA requested
CDIVN
After Call forwarding
착신자에게 호전환 통보

Others
Presence status
상태

Media
미디어
GSMA requested
Caller identity or lack of identity
발신주소

Time of the call
시간


* CFU: Communication Forwarding Unconditioinal
* CFB: Communication Forwarding Busy
* CFNR: Communication Forwarding No Reply
* CFNL: Communication Forwarding No Logged-in
* CD: Communication Deflection
* CFNRc: Communication diversion on mobile subscriber not reachable
* CDIVN: Communication Diversion Notification

8.     Communication Barring(CB)
사용자는 User preference 설정을 통해 착신호 또는 발신호를 선택적으로 금지할 수 있다. 이는 크게 Incoming Communication Barring(ICB), Outgoing Communication Barrging(OCB), Anonymous Communication Barring(ACB)로 구분할 수 있고, 각각 수신호, 발신호, 익명호에 대한 호 금지를 의미한다. TAS는 호시도를 위한 SIP INVITE 수신 시, 착신사용자의 User preference를 확인하여 메시지를 착신할 지 여부를 결정한다.

3GPP [TS24.611] CB 서비스를 위해 설정할 수 있는 조건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Presence-status: 착신사용자의 상태값
   Cp:identity: 발신자의 ID

< ?xml version="1.0" encoding="UTF-8"? >
   < ruleset xmlns="urn:ietf:params:xml:ns:common-policy" >
       < rule id="f3g44r1" >
           < conditions >
               < identity >
                   < one id="sip:alice@example.com"/ >
                   < one id="tel:+1-212-555-1234" / >
                   < one id="mailto:bob@example.net" / >
               < /identity >
           < /conditions >
           < actions/ >
           < transformations/ >
       < /rule >
   < /ruleset >




   Anonymous: 익명 발신자
   Cp: validity : 특정 시간대
   Media: 특정 미디어
   Communication-delivered: 호가 전환된 경우
   Roaming: 로밍 호인 경우(P-Visisted-Network-ID, P-Access-Network-Info)
   Ocp:external-list : user id가 외부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Ocp:other-entity : 다른 조건에서 설정되었던 ID를 제외한 다른 모든 identity.
   International : request-URI tel uri이거나 SIP uri이고, 발신지가 home network이 아닌 경우
   International-exHC: International의 조건을 만족하고, 착신네트웍이 착신자의 home network이 아닌 경우.
   Rule-deactivated: Rule을 비활성화 하기 위해 사용.

사용자는 위의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조건을 사용하여, 특정 착신호를 금지할 수 있다.


< Red Mouse >